이 포스팅에서 소개할 대표적인 촉진수단에는 광고, 인적판매, 판매촉진, PR 네 가지가 있습니다.
광고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촉진수단의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광고의 범위는 굉장히 애매해서 어디까지 광고로 보아야 하나에 대한 의문점이 있기 때문에 특성을 단정해서 설명할 수는 없지만, 꼽히는 점들만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광고를 하는 상품은 법에 합치된다는 것입니다다. 광고라는 형태는 소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만큼 해를 끼치면 안 되기 때문에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지 않는 상품이라는 것입니다다. 다음으로 광고는 기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은 그 메시지를 캐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광고는 정형화된 특징이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TV를 보다보면 단순히 무언가를 반복하는 광고, 셀러브리티를 활용하는 광고, 드라마 형식의 광고 등 특성에 맞는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광고는 직접적으로 설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 대 사람으로 직접 판촉활동을 하는 것보다 덜 설득적입니다. 또한 광고는 기업이 소비자들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보지 못하고 일단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집중을 하지 않는다면 광고의 효능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광고는 비용적 측면에서도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인기 드라마나 예능 앞의 광고를 몇 번 송출하는 데 돈이 얼마가 든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으실 겁니다. 라디오나 지방 채널의 경우에는 괜찮지만,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법칙을 따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요즘 인터넷과 SNS를 활용한 광고가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적판매
인적판매는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판매 인적자원이 다가가는 방법입니다. 광고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반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상품에 대한 친숙함과 호감이 늘어 구매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판매원과 소비자 사이의 관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앞서 기업에 대한 충성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인적판매 과정에서 생기는 관계는 제품의 충성심과 장기적인 거래를 이끌 수도 있습니다. 특히 산업에 필요한 산업재의 경우 이러한 관계의 역할이 매우 큽니다. 다음으로 광고는 소비자가 무시해버리면 그만이지만 인적판매를 그러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의 주의를 더 많이 끌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판매원에게 즉각적으로 반응할 확률이 높습니다.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광고와 같은 촉진수단은 기업이 양을 늘리고 줄이고 하기 쉽지만, 인적판매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고정비용이 되는 것입니다.
판매촉진
판매촉진이란 기업이 판매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수단들을 말합니다. 마트를 가면 진열대에 달려있는 쿠폰도 판매촉진의 예시입니다. 한 상품을 주면 따라오는 무료 증정품 또한 예시입니다. 또한 요즘 SNS가 발전하면서 기업이 만드는 대회도 있는데요, 이 또한 판매촉진입니다. 이 방법은 단순히 실행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고 싶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광고와는 다른 점이, 광고는 이미지 개선을 위한 것 또한 많지만 판매 촉진은 딱 그때의 수익을 위해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고 브랜드 충성심을 재고하기에도 어려운 방법입니다.
PR
PR은 쉽게 뉴스 등을 통해 기업이 내는 자료들입니다. 뉴스와 같은 신뢰성 있는 매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한층 더 신뢰성 있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또한 광고나 인적판매를 무시하는 소비자들에게도 다가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들은 광고나 인적 판매는 기업이 내는 것이기 때문에 객관성이 없다고 생각하여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뉴스와 같은 매체를 통한 PR은 이러한 소비자들에게도 좋은 정보라고 다가갈 수 있는 것입니다.
이 PR은 앞서 말한 방법보다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기업은 PR 전략을 잘 구사한다면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케팅 > 마케팅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중심적 마케팅 철학 : 생산개념, 제품개념, 판매개념에 대하여 (0) | 2023.02.21 |
---|---|
유통전략 : 집약적 유통, 전속적 유통, 선택적 유통 비교하기 (0) | 2023.02.20 |
제품수명주기 : 주기별 특성과 전략 (0) | 2023.02.17 |
제품 계열 관리 : 확장전략과 퇴진전략 (0) | 2023.02.16 |
제품의 구성요소 : 핵심제품, 유형제품, 확장제품에 대해 (2) | 2023.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