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 1017 기사 - 데이브 더 다이버·P의 거짓·나이트 크로우 "올해 게임대상은 나야 나" 국내 최대 게임 박람회인 '지스타 2023'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주최 측이 역대 최대 규모의 행사를 예고한 가운데 게임업계에서도 엔씨소프트·넷마블·위메이드·스마일게이트·크래프톤 등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다수 참석을 확정하며 적극 호응에 나섰다. 올해 국내 최고 게임을 가리는 '대한민국 게임대상'의 결과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지스타 개막 전날인 오는 11월 15일 열리는 대한민국 게임대상은 국내 게임 관련 상 중 최고 권위로 꼽힌다. 국내 게임업계의 한 해를 결산하는 의미도 담겼다. 데이브 더 다이버·P의 거짓·나이트 크로우…게임대상 3파전 16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올해 게임대상에서 유력한 대상 수상작으로는 넥슨 '데이브 더 다이버', 네오위즈 'P의 거짓', 위메이드 '나이트 크로우' 등이 꼽힌다.. 2023. 10. 20. 1015 기사 - 넥슨 '데이브 더 다이버', 해외매출 비중 90% 돌파... 장르 개척의 저력 * 의견 최근 정말 재밌게 한 데이브 더 다이버의 스위치 출시를 앞두고, 누적 판매량 200만장을 달성했다는 기사를 보았다. 심지어 판매량 가운데 9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했다는 점은 놀랍다. 우리나라에 비해 해외는 콘솔 시장이 더 크다고 알고 있는데, 아직 컴퓨터 기반인 데이브 더 다이버이기 때문이다. 스위치 출시 이후의 저력이 더 궁금해지는 상황이다. 플레이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지루할 틈이 없고 세세한 부분에도 디테일을 심어놨다는 것이다. 그냥 스페이스바만 누르면 들어가질 줄 알았던 배는 내가 직접 총을 쏘며 합판을 부셔야 하고, 픽셀아트로 센스있게 구성한 영상들이 사이사이 재미를 더 해준다. 또한 양식장과 밭과 같은 컨텐츠도 슬슬 다이빙에 익숙해질 때 등장하니 더 재밌었다. 그리고 이 등장.. 2023. 10. 16. 오버워치의 흥망성쇄에 대하여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10. 16. 팁, 외국어 간판... 우후죽순 들어오는 외국문화들? 한국과 외국 간 다른 문화 중 하나인 팁 문화, 하지만 요즘 이러한 팁 문화가 한국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한 커뮤니티에서는 계산시 태블릿을 내밀며 팁을 요구하기도 하고, 유명 베이글집 가게의 카운터에 팁을 넣는 유리병이 놓여있는 사진도 SNS를 뜨겁게 달궜습니다. 또한 카카오 모빌리티의 택시호출 서비스인 '카카오T'에서도 결제 시에 기사님에게 줄 팁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을 도입했습니다. 먼저 이런 문화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왜 팁 문화가 생겼는지부터 알아봐야하는데요. 팁 문화가 성행한 국가는 보통 최저임금이 한참 낮습니다. 따라서 이 팁으로 노동자들의 부족한 최저임금을 채워주는 것이죠. 하지만 우리나라는 최저임금이 다른 나라에 비하면 낮은 수준은 아닙니다. 요즘 물가가 올라서 상대적으로 낮아졌다고 해도.. 2023. 8. 23. Y2K를 넘어, 할매니얼 - 트렌드 분석 상황분석 젊은 층 사이에 '할매니얼(할머니+밀레니얼)' 열풍이 불고 있다고 한다. 트렌드 속에 할머니, 즉 어르신의 감성과 취향이 녹아든 문화를 말한다. 할매니얼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아무래도 약과의 유행이다. 소위 '약켓팅(약과+티켓팅)'이라고 불릴 만큼 인기 있는 약과에서 구매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맞춰 빠르게 구매야한다는 말도 생겼다. 레트로, Y2K가 유행한 것은 굉장히 오래됐지만, 단순히 옷과 음악과 같은 문화 뿐만 아니라 먹을 것, 공간 등에도 이러한 취향이 녹아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F&B 브랜드들은 노년층을 겨냥한듯, 젊은층을 겨냥한듯한 상품들을 내고 있다. 심지어 현대그린푸드에서 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상품 매출의 절반 이상이 밀레니얼 세대였다고 한다. .. 2023. 8. 17.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