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케팅21

카카오톡은 국내 모바일 앱 1위 자리를 유튜브에게 빼앗길까? 5일 연합뉴스는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 통계를 인용해 지난 5월 국내 플랫폼 부문 모바일 앱 가운데 카카오의 카카오톡 MAU가 4145만8675명, 구글의 유튜브가 4095만1188명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MAU는 한 달에 1회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 수를 뜻하는 지표다. 카카오톡이 MAU 1위를 지켰지만, 2위인 유튜브와 격차가 50만7487명에 불과했다. 양대 모바일 운영체제를 통합 집계한 이 통계에서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MAU 차이는 2020년 5월 298만7225명, 2021년 5월 227만2538명, 2022년 153만494명에 이어 올해까지 지속 감소세다. 이 흐름은 2022년 12월부터 이달까지 6개월간 이어져, 올 하반기 유튜브 MAU가 카카오톡을 넘어설 수 있다. 카카오톡은 .. 2023. 8. 17.
마이클 포터의 5 Forces 모델 : 산업 내 경쟁, 잠재적 진입자, 대체재, 구매자의 교섭력, 공급자의 교섭력 안녕하세요, 감초입니다. 마케팅 공부를 한다면 모를 수 없는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 교수가 낸 산업구조 분석 모델입니다. 5 Forces 혹은 5 Force라고 부릅니다. 이 구조에는 기존 시장 내의 경쟁자, 잠재적 진입자, 대체재의 유무, 구매자의 교섭력, 공급자의 교섭력이 포합됩니다. 각 요소의 높고 낮음에 따라 시장의 구조가 평가되고 기업의 유망성이 평가되는 것입니다. 마케팅 전략을 구축할 때 이런 모델을 사용해서 자신들의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미리 파악하고 자신들이 어디서 강하고 약한지를 분석해야 합니다. 또한 타사도 분석하여 자신들이 어떠한 집합에 끼워져 있는지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경쟁사들과 자신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집합을 전략집단이라고 합니다. 산업 내 경쟁 말 그.. 2023. 2. 23.
고객중심적 마케팅철학 : 마케팅 개념, 총체적 마케팅 개념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의 기업중심적 마케팅철학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객중심적 마케팅 철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는 기업중심적 마케팅철학보다는 비교적 소비자의 입장에 선 철학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교적 최근에 나온 철학입니다. 마케팅개념 이는 기업 중심적으로 생각하는 철학과는 반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나가고자 하는 개념입니다. 앞서 말했던 표적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니즈를 발굴하고 이것을 잘 충족시켜 그들의 구매를 이끌어 내며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는 기업중심적 마케팅철학 중 판매개념과 혼동할 수 있으나 매우 다릅니다. 판매개념은 촉진활동을 통해 매출을 내는 것만을 생각한다면, 마케팅 개념은 소비자들의 니즈에 따른 마케팅 활동을 강구하고 펼쳐나.. 2023. 2. 21.
기업중심적 마케팅 철학 : 생산개념, 제품개념, 판매개념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과 다음 포스팅에서는 마케팅 철학의 발전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마케팅 철학은 기업 중심적으로 먼저 발전했습니다. 이는 기업 입장에서 어쩌면 당연한 수순입니다. 그들이 경영을 위해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업중심적 마케팅 철학에는 제목에서도 말했듯이 세 가지가 있습니다. 생산개념 이 생산개념은 마케팅 철학 중 제일 오래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쉽게 말해서 소비자들이 가격은 낮으며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을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생산개념을 믿고 있는 기업인들은 효율적인 생산과 다양하고 많은 유통망을 좋아합니다. 이는 공급이 훨씬 많아서 제품을 내놓기만 하면 잘 팔리는 상품인 경우와, 대량 생산을 통해 원가를 낮춰야 하는 원가가 높은 상품.. 2023. 2. 21.
유통전략 : 집약적 유통, 전속적 유통, 선택적 유통 비교하기 유통 과정에서 사이에 끼는 중간상의 수를 '시장 커버리지'라고 합니다. 이러한 시장 커버리지를 정하는 유통 전략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집약적 유통, 전속적 유통, 선택적 유통 세 가지입니다. 아래에서 차례대로 각 전략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집약적 유통 집약적 유통이란 되도록 많은 소매점에서 상품을 팔도록 하는 전략입니다. 즉, 단순하게 소비자들에게 많이 다가가서 시장의 크기를 늘리는 것입니다. 주로 치약, 세제, 라면 등과 같이 저관여나 저 가격 제품에서 많이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소비자들이 이러한 제품을 구매할 때 많은 노력을 쏟지 않고 충동구매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집약적 유통 전략에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사람들에게 친숙도를 늘리고 더 많이 알릴 수 있으며, .. 2023. 2. 20.
반응형